안나 카레니나
영어 중고책 서점(포린북스토어)에 책을 찾으러 갔다가 못찾고, 오랫동안 구경한게 미안해서 Signet Classics의 Anna Karenina를 샀다. 책 정가는 7.95달러인데 8000원에 샀으니 중고책이 아니라 새책을 산 셈이다. 1899년생인 David Magarshack의 번역인데, 처음에는 어려웠으나 읽다보니 익숙해져서 나중에는 단어를 검색하지 않고도 읽을 수 있었다. 2019년 9월 9일에 사서 2020년 6월 2일에 다 읽었으니 꽤 오래 걸렸다. 읽다가 인상적인 장면이 나오면 책 모퉁이를 접어 놓았는데, 다 읽고 보니 100페이지 정도는 접혀 있는 것 같다. 읽기 시작할 때는 거의 새책이었는데 지금은 확실히 헌 책이다. 안나도, 카레닌도, 브론스키도 그 누구도 미워할 수가 없다. 모두 좋은 사람들이다. 앞부분에 Priscilla Meyer가 쓴 책 소개가 있는데, 소설을 읽기 전에 한번, 다 읽고 나서 한번 읽었다. 처음에는 뭔소린지 몰랐는데, 책을 다 읽고 읽으니 아 그게 그거였구나 하는 생각이 드는 부분이 많았다. 나도 나름 큰 감동을 느끼고 톨스토이와 교감을 한다고 생각하며 읽었는데, 이렇게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사람들은 정말 세세한 부분까지 놓치지 않고 작품을 분석하는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. 지난 몇 년 동안 톨스토이의 인생이란 무엇인가를 읽으며 톨스토이의 사상에 대해 이미 익숙한 상태이기 때문에 혼란 없이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바를 알 수 있었다는 생각이 든다. 전쟁과 평화보다는 덜 재미있었다. 부활보다는 훨씬 더 재미있었다. 안나 카레니나를 읽었다는 사람: 헌국샘, 슬로바키아의 나타샤.
그리스인 조르바
중고책을 하나 사 두고 시작을 못하고 있다가 도서관에서 DVD를 빌려 영화를 먼저 봤다. 영화를 보기 전에, 마지막 댄스 장면을 유투브로 먼저 봤었는데 전후맥락없이 그 장면만 봐도 충분히 뭔가를 느낄 수 있었다. 영화는 정말 충격적이고 감동적이었다. 책은 영화보다 더 재미있고 더 감동적이었다. 어렸을 때, 한 17-18년전?, 프루나인가 소리바다인가를 하다가 아무 키워드나 집어넣어서 새로운 노래를 다운받곤 했는데 그 때 찾은 노래 중 하나가 Dragostea Din Tei, 또 하나가 Zorba the Greek였다. 그리고 나서 시간이 흐른 후 2004년 TV에서 아테네 올림픽을 보는데, 이 Zorba the Greek의 띠딩- 띠디디딩- 하는 음악이 경기장에서 흘러나오던 기억이 난다. 16년이 흐르고 나서야 그 Zorba the Greek이 뭐였는지 알게 된 것이다. 이윤기 번역인데, 난 모르겠다. 이것보다 좋은 번역이 있을 수 있는지 정말 모르겠다. 웃기는 부분이 정말 많아서 혼자 낄낄거리며 읽기도 했는데 마지막 조르바의 편지를 읽을 때에는 울지 않을 수 없었다. 출근길 전철이었기 때문에 마음껏 울지는 못했다. 소설 속에서 끊임없이 대립되는 두 極, 즉 조르바의 인간적인 충동과 갈망과 욕정과 자유분방함, 그리고 부처의 절제, 초연함, 해탈, 이 대립되는 두 극이 융화되는 지점, 그곳에 답이 있는 것 같지만 이건 정말 어떻게도 표현될 수 없고 머리와 논리로는 설명할 수 없는 부분인 것 같다. 그리고 조르바가 되겠냐 부처가 되겠냐 하는 문제보다는, 카잔차키스와 조르바의 우정과 사랑, 그게 하염없이 안타깝고 좋았던 것이다.
일리아스
예전에 에머슨인가 누구의 책을 훑어보다가, 성경과 일리아드 이 두 권이면 충분하다는 식의 글을 본 적이 있다. 이 구절을 다시 찾아보고 싶어서 가끔씩 에머슨 책을 뒤져보는데 못찾고 있는 걸 보면 다른 책에서 본 것일수도 있다. 아무튼 그 말을 듣고 일리아드에 대한 막연한 동경심을 품어오던 중 중고서점에서 영문판을 우연히 만나 샀는데, 당연히 시작도 못하고 있다. 그러다가 도서관에서 '명화로 보는 일리아스'라는 책을 빌려다 읽었다. 일단 그림이 많아서 좋다. 일리아드와 관련된 그림과 유물들이 이렇게나 많다는 것 자체가 이 일리아드의 위상을 그대로 보여주는 것이다. 이 책의 내용은 요약본일 줄 알았는데, 별로 요약한 것 같지도 않다. 그리고 일리아드 원본에는 없는 앞뒤 이야기까지 나와있다. 재미있는게, 예전에 '로지코믹스'에서 잠깐 읽었던 오레스테스에 관한 이야기가 일리아드 다음에 이어진다는 것이다. 그때는 몰랐는데 이게 전부 다 이어져 있는 것이었다. 아무튼 이 책으로 일리아드의 전체적인 내용 파악은 확실히 할 수 있었다. 읽다보면 내용이 꽤나 흥미진진해서 한 챕터만 더 읽을까 하는 생각을 몇 번 했다. 그런데 별로 중요하지 않은 등장인물들이 하도 많아서 좀 귀찮기도 했다. 다른 말로 하면 '네임드' 캐릭터가 너무 많아서 진짜 중요한 인물과 그렇지 않은 인물을 파악하는데 시간이 좀 걸린다. 디오메데스나 아이아스 같은 인물은 전에는 몰랐는데 비중이 아주 큰 인물이다. 아이아스의 영어식 이름은 Ajax인데, 그룹중에 에이잭스라는 그룹도 있고, 롤의 Jax도 여기서 따온 것 같다. 아, 정말 웃기는게 여기에 쓰고 있는 글들은 내가 이 책들을 읽으며 느꼈던 감정들과, 그리고 이 책들의 핵심과는 꽤나 동떨어져 있다는 것이다.
'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산 음식, 죽은 음식 (0) | 2023.05.05 |
---|---|
더버빌가의 테스 (Tess of the d'Urbervilles) (1) | 2023.01.25 |
플라톤 - 향연 (0) | 2019.08.31 |
도스또예프스키 - 죽음의 집의 기록 (0) | 2019.08.31 |
조셉 캠벨 - 천의 얼굴을 가진 영웅 (1) | 2019.08.31 |